거대 들소(ARK: Survival Ascended)
최근 수정 시각: ()
거대 들소 Giant bison Bison Matrislal | |||||||||||
종명 | |||||||||||
시기 | 플라이스토세 초기(Early Pleistocene) | ||||||||||
식성 | 초식(Herbivore) | ||||||||||
성향 | 영역형(Territorial) | ||||||||||
조련 여부 | 가능(기절 조련) | ||||||||||
추가 DLC | |||||||||||
|
1. 개요 [편집]
2. 상세 [편집]
3. 성능 및 특징 [편집]
1레벨 기준 기본 능력치 | 스탯 증가율 및 보너스 | ||||
스탯 요소 | 기본 능력치 | 스탯 증가율 (야생/조련) | 조련 시 보너스 | ||
800 | +야생배율 | +조련배율 | +보너스 x보너스 배수 | ||
500 | +야생배율 | +조련배율 | |||
150 | +야생배율 | +조련배율 | |||
3250 | +야생배율 | +조련배율 | |||
650 | +야생배율 | +조련배율 | |||
30/40 | +야생배율 | +조련배율 | |||
100% | N/A | +조련배율 | |||
500 | +야생배율 | N/A |
이동 방식 | 기본 속도 | 질주 속도 | 소모 기력 | ||
야생 | 조련 | 야생 | 조련 | ||
육상 | 육상 야생 | 육상 조련 | 육상 야생 | 육상 조련 | |
수중 | 수중 야생 | 수중 조련 | 수중 야생 | 수중 조련 | |
공중 | 공중 야생 | 공중 조련 | 공중 야생 | 공중 조련 |
들소의 스탯은 중형 생물치곤 높은 편이며 기력과 무게 수치가 높아 수송용에도 적합하다.[2] 초식 생물이지만 의외로 선공형 생물이며, 한 마리만 어그로를 끌어도 무리 전체가 달려든다. 상술했듯 스탯이 높은 편이고 무리 생물이라 먼저 덤벼든 육식 생물이 역으로 썰리는 광경을 볼 수도 있다.
길들인 들소는 공격력이 준수한데다가 무리 생물이라 최대 +6(7마리)의 무리 버프까지 받을 수 있으며, 무리를 구성하면서 자동으로 받을 메이트부스트 버프까지 받아 전투력이 뛰어난 생물이다. 또한 기력과 무게 수치가 높아 짐꾼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며, 빠른 속도와 뛰어난 선회력으로 기동성마저 좋은데 후술할 우유 생산 능력 덕분에 유틸성마저 좋은 거의 만능 생물이다.
길들인 들소의 능력은 다음과 같다.
들소의 공격은 뿔로 찌르거나 들이받는 식이다. 기본 데미지가 준수하고 공격 범위도 넒은 편이라 전투에서도 밀리지 않지만 공속이 미묘하게 느리다. C키를 통해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 헤드 업(Head Up) 상태평범하게 머리를 들고 있는 상태로, 좌클릭으로 넉백이 강한 기본적인 공격을 할 수 있다. 우클릭을 하면 가볍게 뛰어올라 강하게 들이박는 공격으로, 적중한 상대는 소량의 기절치와 함께 잠시 스턴에 걸린다. 날려버리는 공격과 달리 딱히 제한이 없어 기가노토도 스턴시킬 수 있다.
- 헤드 다운(Head Down) 상태일 때: 머리를 내리고 있는 상태로 좌클릭으론 머리를 좌우로 흔들며 들이받는 공격을 하는데, 머리를 여러번 흔드나 공격 판정은 한번만 있다. 우클릭은 들이받다 뒤로 넘기는 공격으로, 여기에 맞은 생물은 들소의 뒤쪽으로 날아간다. 자체 무게 제한이 있어 대략 트리케라톱스(300) 정도까지는 날려버릴 수 있다. 선딜이 조금 있어 약간의 예측샷이 필요하다.
이 공격들은 가속 수치에 따라 추가 데미지가 있으며, 가속 수치가 높을수록 스턴에 걸리는 시간과 넉백이 증가한다. 가속 수치를 최대로 올린 들소는 헤드 업으로 상대를 그냥 샌드백으로 만들어버리거나 헤드 다운으로 상대를 저멀리 날려보낼 수 있다.
- 돌진
울리 라이노와 다이어베어, 케라토사우루스처럼 달릴수록 가속이 붙는다. - 우유 생산
암컷 들소는 주위에 새끼가 있을 경우 우유를 생산할 수 있는데, 이 우유는 무려 와이번 젖을 대신해 와이번을 키울 수 있다. 15분에 하나씩 생산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제작 요리 등의 소모품의 버프 지속 시간을 약 50% 가량 늘려준다. 다만 와이번 유의 버프 지속시간은 늘려주지 않는다.
들소는 앤드류사르쿠스와 비슷하게, 덩치와 달리 점프가 가능하다. 점프한다고 돌진 수치가 초기화되지 않는다는 소소한 장점이 있다.
여담으로 일부 생물들처럼 성적이형이 구현되어 있는데, 수컷은 크고 가시가 달린 뿔을 가지고 있지만 암컷은 수컷의 절반 정도 길이의 뿔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우유도 암컷만 생산이 가능하다.
3.1. 스폰 지역 [편집]
(공룡 이름) 스폰 지역 | ||||||||||||||||||||||||||||||||||||||||
|
들소는 어센디드로 넘어오면서 추가된 새로운 섬 3곳과 하이랜드, 그린오벨 부근같이 좀 넓은 평야가 있는 곳에서 스폰된다. 선공형 생물인데다가 무리지어 스폰되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3.2. 조련 방식 [편집]
들소는 기절 조련이다.
정말 오랜만에 나온 평범한 기절 조련 생물이다. 그냥 기절시키고 인벤토리에 먹이를 넣어주면 끝이다.
주의할 점은 상술했듯 들소는 선공형 생물인데다가 무리지어 스폰되기 때문에 주변을 정리하거나 길들일 개체만 가둬서 조련을 진행하는 것이 좋으며, 초식 생물치곤 마비수치가 빠르게 떨어지는 편이니 마비약이나 생체 독소를 준비하는게 좋다.
선호하는 키블은 우수한 키블 이상이다.
정말 오랜만에 나온 평범한 기절 조련 생물이다. 그냥 기절시키고 인벤토리에 먹이를 넣어주면 끝이다.
주의할 점은 상술했듯 들소는 선공형 생물인데다가 무리지어 스폰되기 때문에 주변을 정리하거나 길들일 개체만 가둬서 조련을 진행하는 것이 좋으며, 초식 생물치곤 마비수치가 빠르게 떨어지는 편이니 마비약이나 생체 독소를 준비하는게 좋다.
선호하는 키블은 우수한 키블 이상이다.
3.3. 장단점 [편집]
- 장점
- 우수한 전투력
들소는 스탯이 높고 상술한 돌진 공격으로 상대를 기절시키거나 날려버릴 수도 있다. 또한 무리 버프와 메이트 부스트 버프까지 받은 들소는 렉스에 밀리지 않을 정도의 전투력을 자랑한다. - 우유 생산
암컷 들소가 생산하는 우유는 와이번 유를 대체할 수 있다. 기존의 와이번 유가 암컷 와이번을 기절시키거나 알파 와이번을 잡아야 주는 것이었기 때문에 들소를 통해 우유를 얻는 것이 훨씬 쉽고 간편하다. - 뛰어난 기동성
들소는 달릴수록 가속을 받으며 선회력도 뛰어나고 점프도 가능하다. 기존의 비슷한 돌진 능력을 가진 울리 라이노의 한숨이 절로 나는 선회력을 생각해보면(...) 들소의 선회력이 매우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쉬운 조련 난이도
들소는 신규 생물 답지 않게 그냥 평범한 기절 조련이다. 대부분의 신규 생물의 조련 방식이 가면 갈수록 괴랄해진다는 것이 불만이었던 유저들은 오랜만에 등장한 평범한 기절 조련 생물을 반기는 중이다.
- 단점
- (조련 시)꽤 빠르게 떨어지는 마비수치
들소는 초식동물답지 않게 마비수치가 꽤 빠르게 떨어지며, 공식 서버 기준 작물로도 조련이 상당히 오래 걸리기에 충분한 마비약 혹은 생체독소가 필요하다. - 조금 아쉬운 공격 속도
중형 생물 중에서 공격 속도가 조금 느린 편이고, 날려버리기 공격은 심지어 선딜도 조금 길어서 약간의 예측샷이 요구된다.
3.4. 다른 생물들과의 비교 [편집]
- 울리 라이노털복숭이 포유류라는 점과 돌진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선회력이 구린 울리 라이노와 달리 들소는 뛰어난 선회력 덕분에 울리 라이노의 상위호환 격이다. 다만 전투력의 경우 단일로는 기본 공격의 9배에 달하는 데미지를 넣을 수 있는 울리 라이노가 더 우위에 있고, 다수라면 들소가 무리 버프와 메이트 부스트를 동시에 챙길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가 가능하다.
- 앤드루사르쿠스
들소 출시 기준 앤드류사르쿠스는 피오르두르 생물인만큼 어센디드에서는 모드 아니면 만날 방법이 없지만, 돌진과 점프가 가능하고 의외로 고스탯의 포유류[3]라는 점과 같은 브금을 쓰는 비슷한 컨셉의 맵에서 스폰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다만 앤드루사르쿠스는 돌진 중 자연 장애물 파괴가 가능하고, 돌진 중 급커브 및 돌진 속도 유지가 가능다는 점에서 운전은 기존 돌진 기능이 있는 생물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들소보다 우위다. 다만 전투력 측면에선 기관총 탄환이라는 고급 자원이, 그것도 상당수 투입되어야 포탑 안장을 통해 발휘되기 때문에 별다른 자원 투자 없이 본체와 버프만으로 운용이 가능한 들소가 운용하기 편하다. 유틸성은 들소가 우유의 존재 덕분에 딱히 이렇다 할 유틸성이 없는 앤드루사르쿠스를 상회한다.
4. 설정 및 스토리 [편집]
5. 여담 [편집]
- 거대 들소는 지속적으로 생물 추가 공모전에 참가했던 생물 + 현실에서도 볼 수 있어 온갖 고생물과 환상종이 판치는 아크에선 다소 무개성한 생물이라 이에 불만을 가진 유저들은 거대 들소의 추가를 좋지 않게 보았다. 다만 막상 추가되고 난 후 단순한 기절 조련에 생각보다 높은 스탯 및 전투력과 우유의 유틸성에 힘입어 평가가 어느정도 반전되었다. 들소의 추가는 딱히 공모전에서 우승하진 않았지만 지속적인 관심 덕분에 아이디어가 게임에 정식 추가된 사례로서 네번째다.[4]
- 거대 들소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 문서의 제목 또한 '거대 들소'라고 표기하였지만 티져 이미지와 도감에서는 왜인지 그냥 '들소(Bison)'라고 부른다.
'거대'를 붙이기엔 아크에 거대한 생물이 너무 많다.
- 아크에서 성적 이형성이 구현되어있는 6번째 생물이다. 들소 외에는 메갈로케로스, 오비스, (인게임상으론 별도 종으로 판정되지만)리퍼, 섀도우메인, 데이노테리움이 있다. 환상종을 제외하면 4번째다.
6. 둘러보기 [편집]
[1] 잘 보면 암수 개체 모두 있다.[2] 라그나로크 트레일러에서도 수레를 끄는 장면이 있다.[3] 들소와 앤드루 둘다 기본 체력 800에, 근접공격력도 30/40과 41이다. 기력과 무게는 들소가 조금 더 좋다.[4] 들소의 앞으로는 순서대로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리니오그나타, 코스모가 있다. 단, 코스모는 직접적인 아이디어 차용에 대한 언급이 없다.[5] 엄밀히 말해 마이비아가 직접 추가된 것도, 마이비아가 코스모의 모티브의 된 것도 공식적으로 밝혀진 게 아니지만, 정황상 제작진이 마이비아의 인기를 인지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